본문 바로가기

Customer Center

고객센터

올해만 6천억 껑충… 공공주택, 불어나는 공사비에 '흔들' > 1:1상담
1:1상담

올해만 6천억 껑충… 공공주택, 불어나는 공사비에 '흔들'

페이지 정보

작성자 dodo 작성일25-05-05 22:38

본문

건설 경기 침체 장기화와 공사비 상승 등의 영향으로 올해에만 약 6000억원의 공공주택건설 사업비가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일각에서는 사업비 증가로 공공주택 분양비가 상승해 결국 소비자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a href="https://modelllhouse.quv.kr" title="경기광주역 라온프라이빗">경기광주역 라온프라이빗</a>
5일 국토교통부와 경기도 등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공공주택건설 사업계획이 변경되며 사업비가 상승한 사례는 13건이다. 사업비 변경에 따른 증가액은 6242억원에 달한다.

가장 큰 폭으로 사업비가 증가한 곳은 신혼희망타운이 예정된 경기 남양주 진접2지구 A3 블록이다. 이곳은 애초 사업비가 1044억원이었으나 1750억원으로 67.7%(706억원)이 불어났다.<a href="https://modelllhouse.quv.kr" target="_blank" rel="noopener=">경기광주역 라온프라이빗 드림시티</a> 금액 증가 폭이 높은 곳은 경기 화성의 동탄2 신도시 A78블록으로, 기존 4562억원이던 사업비가 5819억원으로 1257억원(27.5%) 증가했다.

사업비는 늘었으나 사업 규모는 줄어든 곳도 있다. 경기 부천대장지구 A7 블록은 사업비는 늘었으나 사업 규모는 줄어들었다. 이곳은 기존 1790억원이던 사업비가 2660억원으로 870억원(48.61%)이나 늘었다. 반면 사업 규모는 1개층 줄어 들어 지하 2층·지상 8~15층, 아파트 12개 동, 473가구로 변경됐다.

사업비가 늘어날 경우, 분양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 부천대장 A7 블록의 경우, 2021년 사전 청약 당시 추정 분양가가 4억3551만원이었으나, 본청약에서는 평균 5억2000만원을 기록했다.

공공주택건설 사업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서울주택도시공사(SH), 경기주택도시공사(GH) 등 공공기업이 사업비를 함께 부담하는 만큼, 큰 폭의 상승은 이뤄지지 않을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 공공 재정 악화 가능성이 점쳐진다. 업계 관계자는 "국토교통부는 올해 공공주택 공급을 역대 최대 규모인 25만여 가구로 확대했다"며 "공공기관들이 사업비 상승에 따른 책임을 부담하는 상황이 더욱 악화될 것"이라고 말했다.